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. 성혜란 기자와 여랑야랑 시작합니다. 첫 번째 주제 보겠습니다.강한 자에겐 강하게, 약한 자에겐 약하게. 강강약약 한동훈 대표가 외쳤었죠. <br><br>네. 하지만 민주당은 '강강약약'을 ‘강약약강’으로 받아쳤습니다. <br> <br>강한 자에겐 약하고 약한 자에겐 강하다고요. <br> <br>[한동훈 / 국민의힘 대표 (지난달 27일)] <br>"우리 지향점은‘강강약약’에 가깝습니다. 나름 그런 인생을 살아왔다고 저는 생각해요."<br> <br>[박찬대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(오늘)] <br>"한동훈 대표가 윤석열, 김건희 부부에게 꼬리를 내렸습니다. (강)자에게 한없이 (약)하고 (약)자에게 (강)한, 전형적인 (강약약강)입니다. (김 여사) 특검을 원천 거부하는 대통령의 발언에 쓴 소리 한 마디 못하는 처지가 애처롭기까지 합니다."<br><br>Q. 한 대표가 대통령에게 각 세울 땐 힘내라고 응원하더니, 돌변했네요? <br><br>네, 한 대표가 대통령 담화 이후 용산과 확전을 자제하고, 이재명 대표를 때리자, 민주당, 한 대표 때리기로 태세를 전환했습니다. <br>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표 (지난달 28일)] <br>"우리 한동훈 대표님 국민만 보고 가십시오. 국민을 믿고 정치를 함께 해 나가시기를…"<br> <br>[박지원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지난달 30일, 유튜브 ‘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) <br>"실제로 힘을 보여서 (김여사) 특검으로 갈 수 있게끔 도와주는 것은 저는 한동훈이라고…"<br><br>[한준호 /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(오늘)] <br>"명색이 여당 대표가 되어서, 그렇게 뒤에 숨어서…"<br> <br>[이언주 /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(오늘)] <br>"한동훈 대표는 윤석열 대통령의 영원한 부하입니까?"<br> <br>[전현희 /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(오늘)] <br>"결국 한동훈 대표는 히틀러의 괴벨스를 선택했습니다."<br><br>민주당, 한 대표를 응원하며 당정간 틈벌리기를 해 왔는데, 틈이 안 벌어지자, 전략을 바꾼 것 같습니다. <br>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범죄도시와 백골단, 단어들이 무시무시하네요. <br><br>지난 주말 민노총과 경찰의 충돌을 바라보는 여야 대표의 시각은 정반대였습니다. <br> <br>한 대표는 민노총을, 이 대표는 경찰을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[한동훈 / 국민의힘 대표(오늘)] <br>"경찰에 대한 폭력으로 다수가 체포됐습니다. 무력 시위 계속 할 것 같은데 앞으로 몇 년간 폭력 시위로 더럽혀지게 될 겁니다."<br> 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표(오늘)] <br>"엄청난 수의 경찰이 중무장을 하고 시위대를 파고들고 급기야 국회의원을 현장에서 폭행하고."<br> <br>[한동훈 / 국민의힘 대표(오늘)] <br>"정치가 아니라 범죄 아닙니까? 아름다운 서울의 주말이 차 막히고 짜증나는 상황이 반복돼야 합니다."<br> 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표(오늘)] <br>"80년대 '폭력 경찰' 모습이 떠올랐습니다. 소위 백골단이 시위대를 무차별 폭행하고 연행하려고 대기하고…"<br><br>Q. '백골단'이라고 하면, 영화 속에서 많이 봤죠 <br><br>1980~90년대 경찰의 시위 진압 부대를 말합니다. <br> <br>주로 흰색 헬멧과 청재킷 차림으로 시위를 진압했는데, 폭력 진압을 조장했단 비판을 받았죠. <br> <br>Q. 이재명 대표 말로는 국회의원도 다쳤다던데요? <br><br>한창민 사회민주당 대표가 SNS에 "경찰에 의해 바닥에 깔렸고 들려나왔다"면서 올린 영상인데요. <br> <br>"옷이 찢어지고 온몸에 타박상을 입었다"고도 했습니다. <br><br>하지만 경찰 말은 다릅니다. <br> <br>"시민이 지나갈 통로를 개척하는 상황이었다"면서 "영상도 봤지만 경찰의 물리력에 의해 넘어진 건 확인되지 않는다"고요. <br><br>오히려 "안전하게 이격 조치를 했는데 한 의원이 다시 접근했다"고 반박했습니다. <br> <br>Q. 폭력 집회는 절대 안 됩니다. 주제 하나 더 보겠습니다. '여야의정' 협의체 열차 오늘 드디어 출발했죠. <br><br>네. 일단 야당은 빠지고 여, 의, 정 세 주체가 열차에 올랐습니다. <br> <br>첫 만남은 어땠을까요? 그동안의 앙금이 다 풀린 것 같진 않았습니다. <br><br>[이진우 / 대한의학회장(오늘)] <br>"정부와 여당이 성의 있는 태도를 보이지 않는다면"<br> <br>[한덕수 / 국무총리(오늘)] <br>"의료계에서 더 많이 참여했으면 좋겠다..."<br> <br>[한동훈 / 국민의힘 대표(오늘)] <br>"야당이, 민주당이 참여하지 않고 있는데요."<br> <br>[박주민 / 더불어민주당 의료대란대책특위 위원장 (오늘, 유튜브 '오마이TV - 박정호의핫스팟')] <br>"어제 오후 4시에 공문 한 장 ‘띡’ 보낸 게 다예요. 안 오길 바란 거 아닐까"<br><br>Q. 드디어 만났는데 서로를 향해 할말을 다 준비해 왔군요. <br><br>내심 섭섭한 마음 표현한 거죠. <br> <br>실제로 저희가 취재해 보니 비공개 회의에서도 서로 서운한 마음 솔직하게 다 털어놨다고 하는데요. <br> <br>허심탄회하게 그간 묵혀둔 감정 털어놨다고요. <br><br>첫 시작은 삐그덕댔지만 국민 생명과 맞닿아 있는 의료문제인만큼, '여야의정' 열차 끝까지 궤도 이탈 없이 '무사운행' 하길 바랍니다. (무사운행) <br> <br>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 <br><br>구성: 성혜란 기자, 김민정 작가 <br>연출·편집: 정새나PD, 황연진AD <br>그래픽: 디자이너 이서우<br /><br /><br />성혜란 기자 saint@ichannela.com